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작금의 청문회를 바라보며 느낀 점.

작금의 청문회를 바라보며 느낀 점. 

작금의 청문회를 바라 보노라면 온갖 생각이 다 난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가장 안타깝게 생각하는 것은 후보자 개개인의 비도덕, 불법이라기 보다는 -물론 그것들도 짜증난다- 다름아닌 그것들을 잉태하여 생산할 수 밖에 없는 우리의 사회현실의 구조라는 측면이다. 
나의 관심은 항상 (문제가 발생이 되면) 과연 '첫번째 단추'는 무엇일까부터 생각을 하는데, 따라서 그러다보니 매번 철학의 영역으로 들어가게 되는 것 같다. 다 생각이란 것 때문에 이루어지니까 . 으.. 지겨운 철학 답없는 철학.. 
아무튼, 크기가 작고 소규모로 형성되는 단위적 형태의 어떤 현상은 한사람의 어떤 힘, 조작으로도 충분히 만들어 낼수도 있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크기가 아주 크고 그리고 이처럼(비도덕과 불법의 횡행을 말함) 대규모로 이루어진다면은 우리(국민들) 역시 그 책임에서 쉬이 벗어날 수 없기에 하는 말이다. 왜냐하면 우리 역시 이러한 사회현상을 만드는데 -직접적인 일조는 아닐지라도- 다같이 휘몰아간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대단위의 사회현상에는 절대 일부가 움직여서는 그렇게 생성되지 않는다고 보고 따라서 전체가 같이 움직여야만이 그러한 사회현상이 만들어진다고 생각한다. 

야당의 입지를 말하지 않을 수 없다. 이는 야당을 위해서가 아니라 그러한 사회현상의 결과가 야당을 통해 명목적으로 빚어질 것이기 때문이다(여당은 그냥 그들이 꼴리는 데로 임명동의를 할 것이다. 많아야 두 명 낙마 시킬것이다. 조현오와 이재훈 정도). 
결론적으로 야당은 비도덕과 불법의 스펙트럼안에서만이 후보자를 선택을 할 수 있다. 도덕과 합법의 스펙트럼이 아니라 비도덕과 불법의 스펙트럼이다. 쉽게 말하자면 섞은 사과만 담아놓은 광주리에서 그나마 덜섞은 사과를 고를수 있을 뿐이다. 
도대체 청문회를 왜하는 것인가? 청문회 무용론이 안 생길수가 없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그 사과들을 우리(국민)들이 먹어야 한다는 것이다. 

비도덕과 불법을 수회 일삼은 후보자들을 국가대사를 책임지는 국무위원으로 임명할수는 없는 것이 일반적인 상식이다. 그리고 법이다. 
하지만 위에서 말한 우리의 사회현실이 이를 막고 있다. 분위기가 그렇고, 그렇게 흘러가기 때문에 물타기는 저절로 되어 버렸고, 기준과 레벨은 한없이 내려왔다. 전 정부에서는 위장전입 한건으로도 절대불가 임명의 그것이었다고 해도 세상은 변하여 이를 인정하기에 이르렀다. 

이것에 이르게 한 가장 큰 잘못은 물론 정치 지도자에 있겠지만, 우리(국민)역시 그 책임을 완벽히 면할 수는 없다. 위에서 말했듯 우리 역시 휘몰아간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어떻게 휘몰았는지 즉, (그러한 지도자와 정당의 정치, 이념에) 직접적으로 가담/동조를 했는지 아니면 방관을 했는지 그것도 아니면 체념을 했는지 간에 우리는 통틀어 휘몰아간 것이다. 
전체가 움직이지 않고 서는 이러한 대단위의 사회현상이 나타날 수는 없을 것이다. 

결국은 바꾸는 것도 우리 국민들이 될 것이다. 
물론 바뀌지 않는 미래도 전혀 예상해보지 않을 수는 없다. 
하지만 내 개인적으는 바뀔것이라 본다. 
최근에 마이클 샌덜 교수의 '정의란 무엇인가?'라는 책이 유행인데 이것 하나만 봐도 우리 국민들을 아직 믿을만은 하다. 샌덜 교수 말대로 우리가 경제에만 너무 치중한 나머지 정의와 같은 문제를 소홀히한 경향은 있지만 다시 정의를 찾고 있는 우리 국민들을 볼 때 그러하다. 

하지만 어떻게 되었든 이번 청문회는 화와 짜증을 떠나 허탈감마저 드는 것은 어쩔수가 없다. 
썩은 사과들 중에서 그나마 덜 썩은 사과를 골라야만 하는 야당. 그리고 어쩔수 없이 씹어 삼켜야 하는 우리(국민). 
'잡초를 제거해야 오곡이 무르익는다'고 안정복은 말했다. 자연의 이치에서 벗어나면 반드시 댓가가 따르기 마련이다.
인간 역시 실수의 동물. 
그 실수를 빨리 인정하고 되돌릴 줄 아는 인간 또한 참인간이다.